
2010년식 YF쏘나타 차량의 운행하다가 간헐적으로 시동을 걸고나서 혹은 주행중 정차시에 부조가 나거나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 증상으로 부조와 함께 RPM 게이지가 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현상도 발생하기도 한다. 우선 진단기를 통해 이상 부분을 확인하였고 P0335 - 크랭크 샤프트 위치 센서 회로 이상이 발견되었다. 놔두면 발생빈도도 많아지고 언제 무슨일이 일어날지 모르므로 가급적 빠른 시간에 교체하는 것이 좋다. 추가적으로 해당차량의 크랭크 사프트 포지션 센서는 문제가 많아 출고시 부품에서 추후 개선품으로 교체되었으며 빈번하게 일어나는 고질병중에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샤프트 포지션 센서(CPS) 는 보통 크랭크각 센서, 크랭크앵글(Crankshaft angle)센서 라고 불리기도..

주차브레이크의 장력조정에 대한 포스팅을 하고자 한다. 핸드브레이크 혹은 풋브레이크라고 하는 주차브레이크는 최근 차량은 대부분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EBP로 작동된다. 기존의 주차 브레이크를 장착한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작동 시 당김이 길다든가, 주차브레이크를 해놓았는데 밀리거나 차량이 움직여진다면 주차 브레이크와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확율이 크다. 아울러 자동차 검사시 주차브레이크와 관련한 불합격 판정을 받게되면 이 포스팅을 참조하면 좋을 듯 하다. 물론 주차 브레이크의 손잡이부분(풋브레이크의 경우는 풋패달부분)이나 브레이크 케이블등이 불량일 수 있으며 라이닝의 마모나 휠디스크의 문제등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포스팅은 케이블등은 정상인 경우에 장력 조정에 대한 사항이므로 참고한다. 관련하여 브리이..

자가정비 블로그에서 뜸금없는 이야기이지만 지구와 달 까지의 거리를 묻는것이 생소 하지만 평균 38만 4천 킬로미터 라고 한다. 이는 목성과 토성을 포함해 태양계의 모든 행성이 들어가고도 남는 정도라고 하는데 어찌보면 가까운 거리인듯 하면서도 태양계 모든 행성이 들어가는 거리이니 먼 거리인듯 하기도 하다. 어째든 운행중인 2010년식 YF 쏘나타의 운행거리가 대략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인 384,000Km를 주행하였다. 개인적으로 운전면허를 취득하고 운전을 시작하면서 여러 차량을 소유하고 폐차하고 운행하였지만 계기판에 이렇게 큰 숫자가 찍힌것은 처음인데 이전의 차량들도 아쉬움에 신차를 구매하면서 하나 둘씩 폐차나 중고차로 넘가 갔지만 대략 25만 Km 전후였었다. 물론 택시등의 영업용과는 비교하기 어렵겠지..

몇년전에 유선 타이어 공기주입기인 샤오미 70mai 제품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얼마전에 무선 타이어 공기주입기를 구매하여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에 유선이긴 하지만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무선에 대해 호기심이 생기기도 하였다. 다만 샤오미에서 나오는 무선 공기주입기는 아니고 소위 짭제품이고 알리 할인기간에 가격이 저렴하여 한번 구매해 보았다. [Tools] 샤오미 70mai 타이어 공기 주입기(Midirve TP-01) 자동차 타이어의 공기압을 자주 체크하는 운전자라면 주유소나 셀프 세차장등에서 자주 공기압을 체크할것이다. 또는 자전거를 즐기는 라이더들이라면 수동 공기 주입기는 필수적으로 구비해 goodstars.tistory.com 영문과 중국어로된 사용 설명서도 있어 한번 읽어보면 도움이 된다...

운행중인 FIAT 500X 차량의 배터리를 교환하였다. 휴가로 몇일동안 차량운행을 하지 않고 있다가 차량 문을 오픈하기 위해 키 버튼을 눌렀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일단 키를 꺼내 수동으로 자동차 문을 열었지만 시동은 물론이고 계기판이나 실내등 조차 들어오지 않는 상태였다. 다행히 바로 운행할것은 아니고 다른 차량도 있어 보험사의 긴급출동은 부르지 않고 진단하고 및 배터리를 교체하기로 하였다. 도어오픈도 되지 않을만큼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면 몇가지 의심해야 겠지만 가장 유력한 문제는 배터리이다. 따라서 배터리 테스터를 사용해 베터리를 점검하였다. 사진은 교환 후 찍은것이지만 교환전에 점검하기 위해 배터리 테스트를 한 내용과 동일하다. 배터리의 수명은 어느 정도인지는 아래의 표를 참조하면 좋을듯 하다..

지난 번 브레이크 캘리퍼 가이드 핀이 고착되어 캘리퍼 어셈블리를 교환하였던 포스팅을 올린적이 있다. 시간이 지나 브레이크 패드 교환을 위해 탈거 후 점검하는 가운데 캘리퍼 어셈블리를 교환했던 반대편쪽에 가이드 핀이 동일하게 고착되었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캘리퍼 어셈블리를 교환하려다가 이번 포스팅에는 가이드 핀 어셈블리만 교환하고 글을 올리고자 한다. 브레이크 캘리퍼 가이드 핀 고착(YF쏘나타 캘리퍼 교환) 약 32만Km 운행한 YF쏘나타 차량이 노후화 되면서 여기저기에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한지 2년이 약간 넘은 시간이지만 그 기간 운행거리가 많아져 브레이크 패드 교체 goodstars.tistory.com 지난글에도 언급했듯이 가장좋은 방법은 역시 캘리퍼 어셈블리를 교환하는 ..

자동차 자가정비를 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고 또 처음 시도해보는 정비는 엔진 오일 교환일듯 하다.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오일교환은 그많큼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고 크게 어렵지 않은 작업이기 때문이리라 생각된다. 본인의 경우도 엔진오일 교환을 정기적으로 자가교환을 하며 미션이나 그밖에 파워오일 및 냉각수등을 교체하면서 폐오일 처리를 해야 했는데 초창기에는 근처의 카센터에 웬지 모를 눈치를 봐가며 부탁을 했다가 시골(?)에서 농기계를 수리하는 분을 지인을 통해 알게 되면서 지인의 집에 놀러가거나 할때 부탁하곤 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바쁘기도 하고 짬이 안나 지인을 만나는 기간이 길어지자 그렇지 않아도 좁은 아파트 배란다에 폐 오일이 담긴 통들이 늘어가기 시작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가정비 ..

36만Km를 넘긴 YF쏘나타 LPi 모델의 차량을 운행하다보니 하체 앞부분에서 점점 소음이 심해지는가 싶더니 차체의 진동도 심해져 엔진오일 교환 시 살펴보니 일명 자바라(벨로우즈 플렉시블: Bellows Flexibler) 머플러가 문제가 있는 듯 하다. 또 5년전 쯤 교환하였던 중간 머플러에서도 소음이 발생하였기에 앞 소음기와와 중간 소음기를 교환하였다. 일반적으로 소음기 이상으로 인한 소음은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다르기 때문에 외부에서 쉽게 원인을 알수 있을듯 하며 후 머플러등은 외형뿐 아니라 배기가스로도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녹이 슬었다고 문제가 발생한것은 아니며 반대로 겉은 멀쩡한데 소음기 내부에 문제가 있어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소음기 문제로 인한 소음발생) 포스팅에서 교체하려는..

야간에 운행 중 램프가 이상이 있는것을 확인하였다. 한쪽 헤드램프가 안들어와서 교체하였다. 메인 헤드램프 한쪽(사진왼쪽)이 안들어 오는데 수명이 다한듯 하다. FIAT 500X의 경우 헤드램프는 제온 D5S 규격의 전구이다. 주황색으로 보이는 부분은 차폭등(미등)이며 헤드램프 어셈블리에는 D5S규격의 제온램프와 H4규격의 램프가 함께 들어 있으며 D5S 제온램프의 경우 상향등과 전조등 겸용이다. 각 차량마다 헤드램프의 규격이 제각각인데 2016년식 FIAT 500X의 경우 제온 램프의 D5S 규격을 사용한다. 제온램프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보다 고가이며 여기서 잠깐 자동차용 제온 램프의 규격에 대해 알아보면 도움이 될듯하다. 일반적으로 D1S, D2S, D3S... D1R, D2R, D3R.....

2010년식 YF쏘나타 차량을 운행한지 벌써 10년 넘게 타고 있다. 2022년 10월 기준 33만 Km가 넘어가고 있지만 꾸준한 애정(?)으로 별다른 고장이나 이상없이 운행하고 있다. 사실 요즈음 블러그의 포스팅도 줄어든 이유가 차에 이상이 있어야 자가정비 취미를 하는데 차가 이상이 없으니 일부러 차를 고장낼 수도 없는 노릇이고..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차량의 고장등의 문제는 아니고 소소한 내장 부품 교환인데 일반적인 차량에서 오래된 차에서 발생하는 문제중 하나인 플라스틱 내장제의 경화나 끈적거리는 노화 현상에 대한 것이다. 보통 연식이 좀 되거나 햇빛이나 이물질등에 노출이 많이 되는 스위치 부분등에서 많이 발생되는데 운행하고 있는 차량의 운전석의 윈도우 메인 스위치 베젤이 이러한 현상이 있고 운전석..

자동차 자가정비를 하거나 자전거 또는 싱크대, 가구 조립등 일상생활에 있어서 볼트나 나사등을 조이거나 풀어 수리할때 가끔이지만 곤란할때가 생긴다. 볼트머리가 마모되어 풀거나 조일수 없게될때도 많이 있고 연질의 재료등에 무리하게 공구나 임팩등을 사용하여 볼트산(나사산)이 뭉개지거나 볼트 홀의 나사산이 뭉개져 볼트가 헛돌아 장착이 어려워지는 경우들이 생길 수 있다. (육각)볼트머리가 마모되었을 시에는 이전 포스팅에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슬립이 잘 되지 않는 논슬립 소켓을 사용하는것이 경험상 가장 좋은 방법이였던것 같다. [Tools] 마모 볼트제거소켓(트위스트 소켓) 자동차 자가정비를 하다보면 제일 많이 사용하는 공구가 소켓과 렌치로 볼트를 풀거나 체결하는 작업일듯 하다. 간단하게 엔진오..

약 32만Km 운행한 YF쏘나타 차량이 노후화 되면서 여기저기에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한지 2년이 약간 넘은 시간이지만 그 기간 운행거리가 많아져 브레이크 패드 교체를 하면서 캘리퍼 가이드 핀이 고착이 발생하여 캘리퍼 어셈블리를 교체하였다. 고착(固着)은 사전적 의미대로 굳게 들러붙는다는 의미인데 브레이크 시스템에서의 고착은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다. 캘리퍼의 실린더 부분이 부식등으로 고착되거나, 브레이크 액이 흐르는 파이프나 실린더 내부등이 이물질등으로 막혀 생기기도 하며, 또 가이드핀이 고착되거나 패드스프링이 고착되는 경우도 있다. 고착 방지를 위해 브레이크 전용 구리스나 고착방지용 구리스등을 사용하지만 고착되는 경우는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이전에 간단하게 캘리퍼 고착을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