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동차/자가정비 (179)

현대기아자동차의 아반떼, 쏘나타, 그랜져, K5, K7등 세단이나 SUV의 대부분의 프론트 스태빌라이저 부싱의 교환은 공간이 협소하여 생각보다 녹녹한 작업이 아니다. 스태빌라이저 부싱을 교환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는데 몇가지 시도해본 방법중에 자가정비에 가장 쉽게 작업했던 방법과 YF쏘나타(2010년식 LPi)의 프론트 스태빌라이저 부싱 교환 작업을 소개하고자 한다. 많이 알려져 있는 프론트 스태빌라이저 부싱 교환 방법은 1. 차량 리프트 상태에서 프론트 센터의 댐퍼등을 탈거, 공간을 확보한 후 교환하는 방법 : 위 방법은 공간이 비교적 확보가 됨에따라 부싱의 탈거와 장착이 편한점이 있으나 차량을 키높이정도로 리프팅해야 하므로 리프트 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2. 본닛을 열고 운전석쪽은 배터리등을 ..

2010년식 뉴SM5(L43) 엔진오일을 교체하였다. 연식에 비하여 비교적 운행거리가 짧아서 엔진오일 주기가 비교적 긴 차량이다. 연간 운행이 짧더라도 10,000Km 혹은 1년에 한번은 엔진오일은 교체해야 한다. (SM5 정비지침서상에는 10,000Km 또는 6개월마다 교환하고 가혹 조건일 경우 7,500Km주기로 교환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다른 정비도 중요하겠지만 기본이 되는 엔진오일교체 주기에 따라 교체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오일 교환량 오일만 교환시 4,6L, 오일필터 교환시 4.8L로 매뉴얼에 명시되어 있다. (드레인 방식의 일반적인 경우) - 오일만 교환시 : 약 4.6L - 오일필터, 오일교환시 : 약 4.8L 실제 드레인 후 주입시 대략 4.2~4.3L 정도 들어가는데 1L..

2010년식 YF쏘나타 LPI 2.0 차량의 리어 하부의 서브프레임을 교환하기로 하였다. 교환하고자 하는 이유는 운행한지 10년이 넘었고 운행거리도 26만Km가 넘었다. 이에 리어 서브프레임 부식이 심하게 생겼으며 다른 하체 부품들도 노후되었기 때문인데 특히 차체의 부식은 거의 없으나 부식된 서브프레임을 교환해야 다른 하체부품들을 교환하는것이 의미가 있을듯 하다.이번 작업은 자가정비로 서브프레임을 메인으로 리어 하체를 대부분 교환하는 작업으로 부품은 전부 순정품으로 교환하였으며 작업은 리프트와 미션작기등 교환에 필요한 장비를 빌려(셀프 정비소 이용) 작업하였다. 교환에 필요한 부품모든 부품은 현대모비스 정품을 사용하였고 교환한지 오래되지 않아 교환할 필요가 없는 일부 부품(스태빌라이저 바 및 부싱)과 ..

YF쏘나타 하체털기의 일환으로 리어 서브프레임 교환전 트레일링 암을 교환하였다. 서브프레임 교환시 같이하면 더 좋겠지만 자가정비로 리프트를 빌려서 작업하다보니 시간절약(리프트 대료비 절감)을 위해 전날 리프트 장비 없이(잭과 안전스탠드 사용) 교환하였다. 리어 트레일링 암의 역할은 타이어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하유동으로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리어 하부 교체의 포스팅한 글은 아래와 같다. YF쏘나타 리어 하부 털기(Rear Sub Frame외 All 교환) YF쏘나타 리어 하부 털기(Rear Sub Frame외 All 교환) 2010년식 YF쏘나타 LPI 2.0 차량의 리어 하부의 서브프레임을 교환하기로 하였다. 교환하고자 하는 이유는 운행한지 10년이 넘었고 운행거리도 26만K..

주행거리 26만Km 이상 운행하였고 10년이 넘은 2010년식 YF쏘나타의 리어 쇽업서버를 교환하였다. 요즘 리어쪽 부품을 하나씩 교환하고 있는데 지난번 리어액슬 필로우볼을 교환하면서 쇽업서버를 탈거하여 점검하다보니 리어 쇽업서버의 상태가 좋지 않았다. 필요한 부품 리어 쇽업서버 교환에 필요한 부품 리어 쇽업서버 교환시 필요한 부품은 아래와 같다. 553113S010 쇽 업쇼버 어셈블리-리어 SHOCK ABSORBER ASSY-REAR 2개 41,910원 553113V010 쇽 업쇼버 어셈블리-리어 SHOCK ABSORBER ASSY-REAR 2개 51,700원 (개선품) 현대모비스 부품조회에서 보면 기존의 품번 553113S010은 그대로 표시되지만 해당 쇽업서버가 개선품으로 바뀌었다. 개선품은 부품조..

2007년식 윈스톰 차량의 인젝터 동와샤를 교환하였다. 이유는 차량이 가끔식 시동이 지연되기도 하고 출력부족도 발생하고 가속시 매연도 가끔 보통때와 달리 심하게 나기 때문인데 이런 이유가 반드시 인젝터 동와샤 때문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관련된 고장코드가 없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인데 더구나 구매 후 관련점검 및 정비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우선 인젝터 동와셔를 교환하고 상태를 지켜보면서 조치를 하기 위함이다. 이전에 2005년식 스포티지 인젝터 동와샤 교환에 대해 포스팅한 글이 있으니 참고해도 좋을듯 하다. 뉴스포티지 인젝터 동와샤 및 오일씰(Injector Gasket & Oil-Seal) 교환 뉴스포티지 인젝터 동와샤 및 오일씰(Injector Gasket & Oil-Seal) 교환 뉴스포티지..

YF쏘나타나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는 차량은 출고시 리어 액슬과 리어 로워암과의 연결을 부싱(Bushing) 대신 필로우볼을 장착하여 출고한다. 물론 일부 차종등에서는 필로우볼 대신 부싱이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출고되지만 2010년식 차량인 YF쏘나타 2.0 LPi모델인 작업차량에서는 필로우볼로 출고되었다. 운행거리도 꽤 되었고 10년이 넘은 차량이기 때문에 브레이크디스크나 패드등의 브레이크시스템이라든가 스태빌라이져 링크나 부싱등 서스펜션의 부품을 교환하기도 하였지만 리어쪽의 전체적인 점검의 일환으로 리어 쇽업서버와 필로우볼을 교환하였다. 필요한 부품 551304D000 필로우 볼 부쉬 앗세이 PILLOW BALL BUSH ASSY 9,790원 필로우볼 정품은 별도의 박스포장 없이 비닐에 포장되어 있다. 여..

지인의 차량 윈스톰을 시험운행해보면 간헐적으로 옆 콘솔박스에서 소음과 진동이 심하게 난다. 무언가 턱턱 튀는소리까지 나며 불규칙적으로 발생하였다. 또 시험운행하면서 발생된 현상은 크게 신경쓰이는 정도는 아니지만 엑셀레이터를 밟고 있다가 떼거나 다시 밟게 되면 턱턱 하는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였다. 운행하는 지인의 말로는 연비도 안좋아졌고 가끔씩 언덕을 올라갈때 평소보다 힘이 없이 올라간다는 조언도 하였다. 윈스톰 차량중 해당 차량은 4WD차량인데 따라서 프로펠러 샤프트의 손상등을 의심하게 되어 점검하였다. 보통 트럭이나 SUV차종중 4륜구동 차량, 후륜구동의 차량등은 전륜(2WD) 구동 차량과 달리 프로펠러 샤프트가 존재한다. 전륜구동축(또는 후룬구동축)의 동력을 후륜축(또는 전륜축)으로 전달하기 위해 필..

주행중 변속충격도 있고 교환시기를 모르겠다는(ㅜㅜ) 지인의 윈스톰 차량의 미션오일을 교환하였다. 미션오일의 경우 차량에 따라 메뉴얼에 무교환등의 문구가 있는 차량이 있으나 개인적인 생각으로 10만Km 주행 후 폐차할것이 아니면 무교환등의 문구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윈스톰 차량은 아이신 5단 미션을 사용하고 있고 메뉴얼상 JWS 3309 규격의 제품을 사용할것을 권장하고 있다. 교환에 필요한 준비물 -규격에 맞는 오일 20L -깔대기 및 호스, 비이커(5L) -언더커버 탈거를 위한 14㎜ 소켓 및 렌치, (+)드라이버 -미션오일 마그넷플러그 탈거를 위한 24㎜ 소켓 및 렌치 -플러그 동와샤 -오일받이, 폐유통 -잭과 안전스탠드(필요시, 오일레벨게이지를 탈거할때 사용하였다), 작업등(Lamp) 준비한 ..

YF쏘나타 2010년식 LPi 2.0모델의 경우 메뉴얼상 가혹조건 10만Km 교환주기로 되어 있는데 지난 2017년 1월 교환 후(약 9만5천Km운행) 다시 교환하였다. 필요오일 및 부품 -오토미션 오일 20L -언더커버 탈거를 위한 10mm 소켓 및 렌치, (+)드라이버 -눈금 비이커(5L), 깔대기 및 호스, 오일받이등, 폐유통(20L 이상) -마그네틱플러그 탈장착을 위한 24mm 소켓 및 렌치, 토크렌치 또 마그네틱플러그와 가스켓(와셔)도 신품으로 구매하면 좋은데 작업에서는 준비하지 못해 재사용하였다. 플러그와 가스켓이 합쳐 천원이 안되는 금액이므로 가능하면 신품으로 교환하는것이 좋다. 4532423100 플러그-마그네틱 PLUG-MAGNET 616원 2151321000 가스켓-오일 플러그 GASK..

몇달전 지인의 윈스톰 차량의 엔진오일 교환 후 엔진경고등이 계기판에 표시되어 있어 간단하게 ODB2 어플을 사용해 진단과 임시조치를 하였다. 진단기상 오류코드는 P2002와 P2453의 코드가 발생하였다. 이 코드는 DPF관련한 오류코드인데 몇가지 의심되는 부분이 있다. 첫번째는 DPF의 막힘등으로 인한 고장, 두번째는 DPF차압센서 자체의 불량, 세번째는 DPF차압센서는 정상이지만 센서 측정값이 불량으로 나오게 하는 원인에 대한 불량이다. 이와 같은 경고등과 오류코드의 힌트를 얻었으므로 DPF, 차압센서와 차압호스등을 살펴보았다. DPF는 외관상으로는 불량 판단이 어렵고 탈거하여 내부를 살펴보아야 하는데 사실 DPF가 고장나는 경우도 흔하지 않은 경우이기도 하지만 오류코드에 보여지는 내용으로 DPF자체..

2007년식 윈스톰 차량의 브레이크 패드를 교환하였다. 지난 2017년 9월에 교환하였으니 대략 3년정도 지난(교환 후 약 7만Km 운행) 시점인데 브레이크 패드의 교환 주기는 운전습관이나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해져 있지는 않기 때문에 가끔 점검하여 교환 시기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번 교환에도 운행중에 브레이킹 시 약간의 쇠마찰음이 들려 점검해 보았는데 앞, 뒤 모두 차이는 있지만 패드 마모 한계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교환하였다. 지난 글 : 윈스톰 브레이크 패드(Brake Pad) 교환 브레이크 패드 정품의 품번은 아래와 같다. GM# 96626069 프런트 브레이크 패드 세트브레이크 패드 프론트(앞) PAD KIT, FRT DISC BRK 73,810원 GM# 96626075 리어..

지인의 2007년식 윈스톰 차량이 얼마전 부터 가끔씩 시동걸리지 않다가 최근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는 횟수가 늘었다고 한다. 우선 진단기로 오류코드를 체크하였으나 오류코드는 없었으며 시동이 걸면 '틱'하는 소리가 들리면서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시동이 걸리지 않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시동 시 위의 증상이 힌트가 된다. 배선 테스트기나 전기 테스트기로 스타트 모터를 체크(스타트 모터 B(+)단자에 연결 후 키온상태에서 전원인가 확인)해 보니 전원은 인가되었고 시동시 모터가 돌지 않고 '틱' 소리가 나는것을 확인 하였다. 스타트 모터가 의심스러울 경우 위와 같이 체크해 보면 확실하게 스타트 모터가 불량임을 알 수 있을 뿐만아니라 릴레이나 배터리, 배선등을 점검할 필요가 없다. 확실하게 스타트 모터가 불..

몇일전 부터 차량을 타기위해 도어를 오픈하면(오토 폴딩을 장착하였다) 백미러가 제대로 펴지지 않고 모터 소리만 요란하게 들린다. 겨우 손으로 펴주어야 하며 접을때에도 마찬가지 현상이 나타난다. 이 문제는 보통 접이 모터의 손상인데, 정확히는 접이모터가 회전하면서 맞물려 회전하는 톱니기어의 파손되었을 확율이 크다.(모터자체가 고장나는 경우는 드물다, 성격은 다르지만 알터네이터의 경우에도 알터네이터 자체의 고장보다는 풀리나 브러쉬등의 레귤레이터의 이상이 더 많다) 대부분 폴딩 스위치가 있어 아웃사이드 리어 뷰 미러 어셈블리(이하 백미러)가 접고 펼수 있는 국산차량(특히 현대기아자동차)의 백미러의 구조가 비슷하기 때문에 아래 작업의 YF쏘나타가 아니더라도 비슷한 구조이므로 수리 가능하다. (사이드 미러를 접거..

YF쏘나타 2.0 LPI차량(2010년식)의 정기적인 엔진오일 교환를 하였다. 포스팅된 글에도 여러차례 오일 교환의 글이 있지만 이번에는 점도 10W30규격의 현대모비스 LPG전용 오일을 사용하였다. 순정오일은 보증기간동안 사용한것이 전부이지만(사실 블루핸즈나 현대사업소에서도 LPG차량이라고 특별하게 LPG전용오일을 넣지는 않는다ㅜㅜ) 교환한 오일은 2012년에 출시된 오일인데 그동안 LPG차량에서 좋은 평가의 리뷰들이 많이 있는 편이다. 필요한 소모품 및 엔진 오일 필요한 소모품은 오일필터, 에어필터, 드레인 플러그와 엔진오일이다. 281133S100 필터-에어 클리너 FILTER-AIR CLEANER 6,160원 2630035504 필터 어셈블리-엔진 오일 FILTER ASSY-ENGINE OIL 2..